본문바로가기

글로벌 링크

도민에게 다가가는 열린의정

정광섭

항상 열린마음으로 여러분만을 기다립니다. 홈페이지를 찾아주셔서 감사합니다.


도정질문

질문제목, 대수, 회기, 차수, 의원, 날짜 질문내용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질문
정광섭 제목 도유지에 둘러싸인 사유지 매수 및 도유지 매수 및 매각 관련
대수 제12대 회기 제350회 임시회
차수 제2차 회의일 2024-03-06
회의록  회의록 보기 영상 회의록  영상 회의록 보기
정광섭 의원 질문내용
[도정에 관하여]
❑ 도유지에 둘러싸인 사유지 매수 관련
❍ 충청남도 도립공원 사유지 매수
- 도는 10년(‘22년~’31년) 동안 총 2,464㏊ 매수를 계획하고 추진하고 있음. 그러나 이는 도립공원 사유지의 절반도 되지 않는 규모임
- 계획대로라면 도립공원 사유지 매수를 완료하기 위해서는 총 20년의 세월이 필요함
- 이에 따른 도민의 극심한 민원과 도립공원 개발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도의 대비책은 무엇인지 묻고자 함
❍ 도립공원 외에 도유지에 둘러싸인 사유지 매수를 위한 적극 행정 당부

❑ 도유지 매각 관련
❍ 도민의 삶을 영위하기 위해, 필요한 도유지 매각 절실
- 도유지 매각에 있어 규제 완화 등 적극 검토로 도민의 생활권 및 경제활동권을 보장해야 함
- 이에 따른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충남도의 견해를 듣고자 함
❍ 충남도 전체 도유지 매각을 위한 적극 행정 당부

도정질문 글보기, 각항목은 제목, 대수, 회기, 차수, 질문의원, 답변자,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분됨
답변
제목 정광섭 의원 질문에 대한 답변
대수 제12대 회기 제350회
차수 제2차 회의일 2024-03-06
회의록  회의록 보기 영상 회의록  영상 회의록 보기
도지사
행정부지사
답변내용
1. 질문요지
○ 생계형 도유지 점유자 등 도민 생존권 보장을 위한 도유재산 매각 등 규제완화 절실
2. 답변요지
○ 불법건축물 소유자에 대한 수의매각 규정이 없고 “(약칭)공유재산법”에 따라 시효취득의 대상도 되지 않아 도유지 매각이 어려운 실정
○ 불법 건축물 해소를 통한 도유지 수의매각을 위해서는 중앙부처의 건축물 양성화에 관한 입법이 필요한 사항
○ 지난해 9월 20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에 “특정건축물 정리에 관한 특별조치법안”이 발의되어 소위에서 심사 중
○ 이 법안이 통과 시 충청남도 공유재산 관리조례 제40조의 규정에 따라, 양성화된 주거용 건축물은 도유지 점유자에게 수의매각 가능
○ 다만, 축사는 양성화되더라도, 수의매각 규정이 없으므로 중앙부처에 제도 개선 건의 등 해결방안을 지속적으로 협의
○ 현재를 기준으로 생계형 점유지에 대해 실태조사를 다시 추진하고 정확한 규모를 파악하여 추후 매각이 가능할 경우를 대비하는 등 도민 고충이 최소화 되도록 다각적으로 노력


1. 질문요지
도립공원 사유지 매수 관련 추진현황과 앞으로의 계획은?
2. 답변요지
○ 도내 3개 도립공원(덕산·칠갑산·대둔산)은 총 지정면적 7,576ha 중 5,393ha(전체의 71%)가 개인 사유지로, 재산권 침해 및 공원 시설물 철거 등 민원이 발생함에 따라
○ 2022년도 행정재산(공용)인 토지·건축물, 공원시설 설치 토지 등에 대하여 사유지 매수 10개년(’22~’31년, 2,464ha, 145필지) 계획을 수립하여 우선 매수를 추진하고 있음.
- ’22~’23년(1차년도) 사유지 매수 완료(373ha, 대둔산 3필지)
- ’24년(2차년도) 매수 추진 중(339ha, 덕산 1필지, 칠갑산 12필지)
- ’25~’31년 잔여 사유지 1,752ha는 예산 확보(367억원) 등 단계적 매수 추진 예정임
○ 도립공원 지정에 따른 사유 재산권 침해, 매수 요구 등 민원과 공원 개발사업 추진 시 토지 소유주 동의 어려움을 해소하고자
- 미포함된 개인 사유지 2,929ha에 대하여도 별도 검토하여 공원 운영·관리에 문제가 없도록 최선을 다하겠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