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정질문
질문 | ||||
---|---|---|---|---|
![]() |
제목 | 통상사무소 사업 확장 및 거점 역할에 대하여 등 4건 | ||
대수 | 제12대 | 회기 | 제345회 임시회 | |
차수 | 제2차 | 회의일 | 2023-06-13 | |
회의록 | 회의록 보기 | 영상 회의록 | 영상 회의록 보기 | |
안종혁 의원 | 질문내용 | |||
[도정에 관하여](답변자 / 정무부지사, 행정부지사) ❑ 통상사무소 사업 확장 및 거점 역할에 대한 질문 ❍ 현지 소장 및 현지직원 채용과 관련하여 ❍ 사업영역의 확대에 대하여 ❍ 운영방안의 투명성 확보를 위한 대책은? ❑ 장애인 일자리 지원 안내 추진 현황에 대하여 ❑ 천안시 하천변 편익시설 마련에 대하여 [교육행정에 관하여](답변자 / 부교육감) ❑ 다양한 가족 구성원에 대한 교직자 교육에 대하여 |
답변 | |||
---|---|---|---|
제목 | 안종혁 의원 질문에 대한 답변 | ||
대수 | 제12대 | 회기 | 제345회 |
차수 | 제2차 | 회의일 | 2023-06-13 |
회의록 | 회의록 보기 | 영상 회의록 | 영상 회의록 보기 |
정무부지사 행정부지사 부교육감 |
답변내용 | ||
1. 질문요지 ○ 장애인 일자리 지원 안내 추진 현황에 대하여 2. 답변요지 ○ 도내 장애인은 총 13만 4천명(시각장애인 1만 2천명)으로, - 장애인일자리지원기관은 학교 급식보조 등 공공일자리, 장애인복지관(16개소) 및 장애인고용공단 등 직업상담 및 민간기업 취업 연계 민간일자리지원기관이 있음 ○ 그 동안 장애인일자리지원기관 안내 강화를 위하여 - 시각장애인용 음성 QR코드를 탑재한 안내문을 제작․배부하였고 * 일자리 지원기관명, 주소, 연락처, 상담 및 지원절차, 내용, 현황 등 수록 - 주민등록증 발급대상 만 17세 도래 장애인에 대해, 읍면동에서 등록장애인 명단 추출, 안내문을 우편 발송하였으며 - 각종 장애인단체, 센터, 읍면동 이장회의 등을 통하여 장애인일자리지원기관 정보 안내문 배부 등 홍보를 강화하여 왔음 ○ 앞으로, 시각장애인의 취업정보 접근성 강화를 위하여 - 시각장애인용 QR코드 음성안내문(기계음)의 청감도를 보완하고, 취업지원 기관별 전화번호 등 음성정보를 자세히 탑제하며 - 만 17세 도래 시각장애인에게는 점자 안내문을 제작하여 주민등록증 배부 시 함께 배부하는 등 ○ 일자리 희망 장애인이 정보부재로 ‘어떻게 해야할지 알지 못해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일자리지원기관 정보안내를 강화하겠음 1. 질문요지 천안시 하천변 편익시설 마련에 대하여 2. 답변요지 ○ 도시하천에 체육시설, 산책로 등 편익시설 설치 요구가 증가하지만 - 하천법에서 하천변 편익시설 설치는 하천점용허가 필요 - 하천법 제33조에 따라 운동기구, 벤치 등의 편익시설은 설치가 가능하나 콘크리트 등의 재료를 사용하는 고정구조물(화장실)의 설치는 어려운 상황 ○ 「하천 산책로 화장실 설치 등 편익시설 마련을 위한 의정토론회」 이후, 하천 인근 대체부지 3개소의 현장확인 결과 - 용곡동 국유지 부지에 첨단 간이화장실 설치를 적극 검토 중이며 - 그 외 부지는 인접 토지 소유주와의 협의 등 장기 검토 필요 판단 ○ 또한, 공중화장실 설치 가능 적정 부지를 지속 검토하는 한편, 개방화장실의 추가 지정 및 관리강화, 안내·홍보 강화 노력 병행 - 개방화장실 1개소 추가 지정(8개소→9개소) 및 신규 지정 노력('23. 4월) - 화장실 안내 표지판 3개소 설치(하반기 10개소 추가 설치 예정)('23. 3월) - 화장실 관리 상태에 따라 관리운영비 차등 지급 ○ 향후, 공중화장실 설치사업 추진시 도 예산 지원을 적극 검토할 계획 1. 질문요지 ❍ 교사 전문성 신장 방안 모색 필요 신규교사 임용 후 교원의 역량을 키워주기 위하여 실시하는 교육(과목) 내용은? 교사의 능력 향상을 위하여 교육청에서 실시하는 교육의 내용은? 2. 답변요지 ❍ 신규교사 임용 후 교원 역량 강화를 위한 연수(과목) 내용은? - 신규교사 발령 전 연수(40시간) 및 발령 후 직무연수(15시간) 실시 (연수는 기본역량과 전문역량 신장 내용으로 학교 교육과정 이해, 학생 및 학부모 상담, 학교폭력예방 처리 절차 등 교육활동 직무 적응기(입직기)에 필요한 내용 위주로 구성) - 공주대, 공주교대 협약을 통한 예비교사 현장 적응력 연수 (운영 기간은 5개월, 예비교사 40명(초등 20명, 중등 20명)으로 교육내용은 미래교육에 대비한 에듀테크 교육이 중점) - 교육지원청 단위 신규교사 역량강화 연수 실시 (교육 분야로는 향토사 이해 연수, 배움자리 연수, 멘토링 연수 등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여 맞춤형 연수 진행) ❍ 교사(신규교사 포함)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육청 연수 내용은? - 체계적인 생애단계별 직무연수(“입직기–성장기–발전기-완성기” 단계 설정 운영으로 체계적인 연수 운영) - 교직원 전문성 강화 직무연수(교과전문성 신장, 직무 특성에 맞는 내용, 학교혁신 역량강화, 공직자 기본소양 함양) - 교육현장과 소통하는 직무연수(학교 설계형, 개인 설계형, 인문학 분야, 특수 분야 직무연수 운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