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글로벌 링크

도민에게 다가가는 열린의정

방한일

항상 열린마음으로 여러분만을 기다립니다. 홈페이지를 찾아주셔서 감사합니다.


도정질문

질문제목, 대수, 회기, 차수, 의원, 날짜 질문내용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질문
방한일 제목 충남 하수도보급률 이대로 괜찮은가 등 2건
대수 제12대 회기 제347회 임시회
차수 제2차 회의일 2023-09-11
회의록  회의록 보기 영상 회의록  영상 회의록 보기
방한일 의원 질문내용
[도정에 관하여]
❑ 충남 하수도 보급률 이대로 괜찮은가?
❍ 충남도 하수도 보급률이 타 시도보다 현저히 낮은 이유에 대하여 설명하고, 지난 10년간 충남도가 하수도 보급률을 높이기 위해 어떠한 노력들을 했는지에 대하여도 답변바람.
❍ 이와 함께 하수도 보급률을 높이기 위한 충남도의 대책과 개선방안에 대하여 답변바람.

❑ 청년에게 외면받는 「청년주택 임차보증금 지원사업」 재검토해야
❍ 충남도 청년 주거형태에 대하여 설명하고, 최근 10년간 청년 주거부담을 완화하기 위하여 충남도에서 어떠한 노력을 했는지와 그 성과에 대하여 답변바람.
❍ 1인가구 청년의 주거부담 완화를 위한 충남도 차원의 제도개선 방안에 대하여 답변 바람.

도정질문 글보기, 각항목은 제목, 대수, 회기, 차수, 질문의원, 답변자,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분됨
답변
제목 방한일 의원 질문에 대한 답변
대수 제12대 회기 제347회
차수 제2차 회의일 2023-09-11
회의록  회의록 보기 영상 회의록  영상 회의록 보기
도지사 답변내용
1. 질문요지
충남 하수도보급률 이대로 괜찮은가
2. 답변요지
○ 방한일 의원님께서 지적하신 바와 같이
- 2021년말 기준 우리도 하수도 보급률은 82.7%로 전국 최하위임.
○ 하수도 보급률이 낮은 주 원인은
- 우리도는 도시지역 인구비율(도시화율*)이 가장 낮은 지역으로 지리적 여건상 인구 밀집 지역에 비해 투자 대비 낮은 효과를 보임.
* 도시화율 : 전국 인구중에서 도시인구가 차지하는 비중(%)
** 전남(73.4%) 〈 충남(74.6%) 〈 경북(78.9%) 〈 충북(80.7%) 〈 강원(82.9%) 순
○ 보급률 향상을 위해
- 하수도 사업이 시장·군수의 고유사무이므로 도에서는 국비 확보와 함께 시군에서 재정투자를 지속적으로 할 수 있도록 지원해 왔음.
- 그래서 지난 10년간 사업비 1조 7,456억원중 국비 1조 2,716억원(72.8%)을 확보하여 사업을 추진했고
- 그 결과, 70.3%→ 82.7%로 2배 이상인 12.4% 향상시켰음.
※ 광역 도 평균 보급률 변화 : 2011년) 85.6% ⇀ 2021년) 91.3% (5.7%↑)
- 또한, 조기 사업 착수를 위한 설계 및 사전 행정절차 이행, 예산 확보를 위한 사업집행 점검 추진 등의 자구노력으로 올해말에는 성과가 반영되어 최하위에서 벗어날 전망.
- 아쉬운 측면은 그간 분산되어 있는 주택들을 집단화하면서 사업을 추진했으면 투자 대비 높은 보급률을 달성할 수 있었으나 병행 추진되지 못한 점임.
○ 앞으로
- 분산되어있는 촌락, 농가주택이 이전·집단화하는 지역을 민선 8기 공약사업인 리브투게더와 연계하여 우선 공급하는 등 경제성과 보급률을 확보하고 * 보급률 1%p 향상 소요 사업비 : 2,000억원
- 혐오시설로 인식되어 설치가 어려운 하수처리장은 기존 처리장과의 연계처리로 사업기간과 사업비를 절감해 나가겠음
- 이와 함께, 보다 많은 국비 확보를 위하여 중앙부처와 지속적 협의하여 하수도 보급률 향상에 최선을 다하겠음.


1. 질문요지
청년에게 외면받는 「청년 주택임차보증금 지원사업」 재검토해야
2. 답변요지
○ 우리도 청년은 19~39세이며 ’23년 8월 기준 498,075명으로 전체 인구의 23.4%를 차지하고, 주거형태는
- 주택유형 : 아파트(64.4%) > 오피스텔(12.5%) > 다가구·다세대(12.1%)> 단독주택(7.1%) > 기숙사 등 기타(3.9%)
- 점유형태 : 자가(55%) > 월세(19.8%) > 전세(16.2%) > 관사·사택 등(4.9%) > 사글세 등 기타(4.1%)임
○ 우리도에서 최근 10년간 추진한 청년 주거지원 사업과 그 성과는
- 충남형 더 행복한 주택 915호 건설 및 30호를 매입하여 889호가 입주하였고, 청년 농촌보금자리 29호를 조성하여 27호가 입주하는 등 임대주택을 공급하였고
- 청년 주택임차보증금 이자지원으로 960명에게 19억 7천만원 및 청년월세 지원으로 2,836명, 37억 3,300만원 등 주거비를 지원하였음
- 민선 8기부터는 원가분양 공공주택 ‘충남형 리브투게더’를 공급하여 “내 집 마련의 기회”도 함께 제공하고 있음
○ 도내 청년 1인 가구는 증가(’19년 9만3,082가구 → ’21년 11만2,300가구)하는 추세이고, 1인 가구의 70% 이상이 전·월세로 거주 중임을 고려하여
- 청년 주택임차보증금 이자지원사업의 소득기준 완화, 대출한도 증액 등 제도개선을 추진하겠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