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글로벌 링크

도민에게 다가가는 열린의정

방한일

항상 열린마음으로 여러분만을 기다립니다. 홈페이지를 찾아주셔서 감사합니다.


도정질문

질문제목, 대수, 회기, 차수, 의원, 날짜 질문내용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질문
방한일 제목 시·군 소방청사 보강 및 의용소방대 사무실 조속한 건립 관련 등 2건
대수 제12대 회기 제341회 임시회
차수 제2차 회의일 2022-11-29
회의록  회의록 보기 영상 회의록  영상 회의록 보기
방한일 의원 질문내용
❑ 시·군 소방청사 보강 및 의용소방대 사무실 조속한 건립 관련
❍ 우리 충남 의용소방대는 2022년 기준 378개, 9,233명의 의용소방대원이 충남지역 구석구석 안전을 책임지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
❍ 그러나, 도내 6개소 유인도서 지역에 아직까지 의용소방대 사무실이
미설치 되어 있으며, 임시 컨테이너를 사용하고 있는 의용소방대가 있는 등 지원이 미흡한 상황임
❍ 향후 의용소방대 사무실 및 시군소방서 사무실 신축과 노후시설 보강 추진 계획에 대해 답변 바람

❑ 119 구급대 응급의료체계 개선 확충 시급
❍ 최근 응급 상황발생 시 골든타임 내 환자를 병원으로 이송하는 등 신속한 대처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음
❍ 그러나 충남의 경우 119구급대가 신고 접수 후 병원까지 도착하는 시간은 평균 37분으로 전국 17개 시·도 중 가장 느린 것으로 나타났음
❍ 도내 충분한 응급시설 확보를 위해 의료사각지대 지역에 도립병원 등 의료시설을 설치해야 할 것임
❍ 응급상황 발생 시 도민 긴급후송을 위한 응급의료체계 확충 및 개선에 관한 충남도의 추진계획은?

도정질문 글보기, 각항목은 제목, 대수, 회기, 차수, 질문의원, 답변자,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분됨
답변
제목 방한일 의원 질문에 대한 답변
대수 제12대 회기 제341회
차수 제2차 회의일 2022-11-29
회의록  회의록 보기 영상 회의록  영상 회의록 보기
행정부지사 답변내용
1. 질문요지
‘도내 시·군 소방청사 신축 및 의용소방대 노후 청사보강 추진계획’에 대한 현안질문
2. 답변요지 <소방본부 소관>
○ 소방서, 안전센터의 이전 및 신·증축은 건축물 노후도 등 우선 수요에 따라‘소방청사 보강 5개년 계획’을 수립하여연차별 사업을 추진 중이며, 의용소방대 청사는 각 시·군 소유로 도에서 직접 사업이 불가하여 ‘시·군의 연도별 자체 사업계획’에 의한 보조사업 신청에 따라 도에서 자치단체 자본보조사업으로 건축비의 50%를 지원하고 있음.
- 유인도서 의용소방대 사무실 미설치지역 6개소 중 2개소는 2022년 12월 준공 예정, 3개소는 2023년 준공 예정, 1개소는 서산시에서 부지 검토 중으로 부지 확정 시 보조사업 지원하겠음.
- 예산군 오가면의용소방대 사무실은 예산소방서 별관에 별도 공간을 확보하였고, 예산읍의용소방대 사무실은 금오119안전센터 이전 신축 시 의용소방대가 함께 입주할 수 있도록 조치하겠음.
- 앞으로 소방서 및 의용소방대의 안정적인 청사 확보로 소방업무가 위축되지 않고 의용소방대원의 사기가 저하되지 않도록 보강사업을 추진하도록 하겠음.


1. 질문요지
○ 응급의료체계 확충 및 개선 방안은?
2. 답변요지 <보건정책과 소관>
○ 충청남도 도민의 생명을 보호하고, 응급상황이 발생했을 시 골든타임 확보를 위한 응급의료 체계 구축 필요
- 충남은 지리적 특성상 119구급대 출동 후 병원 도착까지의 거리가 전국에서 가장 멀어(22.6km)이송 시간을 단축하는 것이 어려운 실정임
○ 우리 도는 소방청 시범사업으로 119구급대 병원 전 단계한국형 응급환자 분류체계를 도입하여 환자 병원 인계 시간을 줄이려고 노력하고 있으며
- 응급의료체계 확충 및 개선에 있어서, 응급의료기관은 전국 평균(30개)보다 적은 20개소로 권역센터(단국대병원)를 중심으로 센터급 7개, 지역기관급 9개, 응급실 운영기관 3개 운영중이며
- 천안에 편중되어 있는 중증환자 치료기관(단국대병원, 순천향대병원) 이용 및 치료 접근성을 위하여
- 응급환자 접근중심의 응급의료 권역별(충남권, 대전권, 전북권)로 헬기이송 및 구급차 이송체계를 구축하여 도내 응급환자 골든타임* 확보에 철저를 기하고 있음
* 증상발현 후 급성심근경색 2시간, 뇌졸중 3시간, 중증외상 1시간
○ 앞으로도 안전하고 신속한 응급의료체계로 개선될 수 있도록 매년 응급의료기관 운영평가를 통하여 응급실 운영비 지원(50억원) 등 응급의료기관 기능보강을 추진하고 있으며
- 취약지 지역응급기관 보령아산병원 등을 치료중심의 센터급 병원으로 육성해 나갈 계획임